중소벤처24
중소기업의 해외시장진출을
지원하는 성공파트너
Small and medium enterprise export support center
배너 및 공지사항
- [중기부] 2023~2025년 유망수출컨소시엄 주관단체 선정 모집 공고 2022-06-27
- [대중소농어업협력재단] 2022년 기술보호 선도기업 육성사업 참여기업 모집(~6/30) 2022-06-23
- (필독) 사업신청 시 오류, 계정찾기 관련 해결방법 안내 2022-06-20
- [중기부] 2022년 수출유망중소기업 지정 계획 공고 2022-06-07
- [중기부] 2022년 수출두드림기업 지정 계획 공고 2022-06-07
중소기업수출지원센터의
주요지원사업을 해외 시장 안내합니다.
수출상담실
- 헝가리 수출에 따른 CE 인증 문의의 건
- 섬유제품의 grs 인증 관련 문의 드립니다.
- 글로벌 강소기업 및 수출유망 중소기업 관련 문의
- 강아지 기저귀 라벨링 방법 및 기본 표시사항 문의드립니다.
상담 및 지원
- 지역별 문의처 체계적인 중소기업 수출지원을 위해
[ 지역별 수출지원센터]를 운영중입니다. - 수출지원사업 문의처 수출지원센터는 각 주요 사업들마다 별도 담당자가 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사업신청 시 오류, 계정찾기 관련 해결방법 안내
- 시스템 관련 문의는 수출지원센터 홈페이지 하단 안내된 로 관련 내용을 메일로 보내주시면 당일(~18:00) 답변드리고 있습니다.
계정 찾기, 계정 잠금 해제
- - 사업자등록증 사본, 명함(재직확인용)을 보내주시면 계정잠금을 해제하고, 해외 시장 아이디 확인과 임시비밀번호를 발급해 드립니다.
로그인 오류
- - '중소기업수출지원센터 로그인(https://www.smes.go.kr/exportcenter/account/login.do)'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벤처24(https://www.smes.go.kr/index)' 로그인과 '간편로그인'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 사업신청 시 '중소기업수출지원센터' 홈페이지 회원가입 필요 (중소벤처24 계정 이용 불가)
사업신청 시 오류
- - 먼저, 홈페이지는 '크롬(chrome)'과 엣지(Microsoft Edge)' 브라우저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 윈도우10 이상 버전에서 인터넷 익스플로러(IE) 서비스가 중단(22.6월~)됨에 따라 지원하지 않습니다 .
- - 그럼에도 오류가 발생한다면, 정확한 진단을 위해 화면 확인이 필요합니다.
- - 주소창이 보이도록
1) 오류 발생 전 정상작동 전체 화면(입력한 내용 확인용),
2) 오류가 발생한 화면(오류 확인용)을 캡쳐해서 보내주세요.
그리고 가입 회원아이디와 사업자번호을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 감사합니다.
중소기업 수출지원센터
일반 문의 : 1357 | 시스템관련 메일문의 : [email protected]
중소벤처기업부 : 30121 세종특별자치시 가름로 180(어진동), 세종파이낸스센터3차 4층~6층 / 대표전화 : 국번없이 1357
연마재 사업부
세계 28개국 에서
10,500명 이상
주거 및 건축 시장의 세계적인 선도 기업, 프랑스 생고뱅 그룹의 자회사이며, 모든 연마 공정에 대해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건설/석재용 절단 장비 : NORTON CLIPPER(노튼 클리퍼) High Speed Saw 정비 April 23 2021
- 다이아몬드 절단석 : Norton 4x4 Max Cut 비교 테스트 April 23 2021
- 건설/석재용 절단 장비 : NORTON CLIPPER(노튼 클리퍼) - Service Saw April 23 2021
- 건설/석재용 절단 장비 : NORTON CLIPPER(노튼 클리퍼) - High Speed Gas Saws April 23 2021
- 다이아몬드 절단석 : Norton 4x4 Max Cut April 23 2021
-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427 위워크타워 11층
- Tel : 02-3706-9261, 9262, 9264 , 9265
- Fax : 02-3706-9263
- [email protected]
우리는 사이트 활용을 늘리고, 더 편한 검색 제공하기 위해서, 쿠키 ( Cookies )를 사용 합니다. 쿠키는 간단한 TEXT FILE 형태로 개인 컴퓨터에 저장되며, 저희 서버가 읽고 기록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수출바우처/해외진출
일본 시장에만 연매출 50억원 내외 수출하는 니즈원! B2B영업의 애로사항을 극복할 플랫폼 진출전략 제시!
[수출바우처] 일본 금형시장 수출기업, 니즈원 (2021) 일본 시장에만 연매출 50억원 내외 수출하는 니즈원! B2B영업의 애로사항을 극복할 플랫폼 진출전략 제시!
[수출바우처] 자외선 살균소독기 제조사, 프라임테크 (2021)
적외선 소독기 해외 시장조사, 크라우드 캠페인, 해외 마케팅 전략 및 세부방안 제시
[수출바우처] 자외선 살균소독기 제조사, 프라임테크 (2021) 적외선 소독기 해외 시장조사, 크라우드 캠페인, 해외 마케팅 전략 및 세부방안 제시
[수출바우처] 홈트 운동기구 제조사, 더밸런스코리아(2021)
자세교정기 해외 시장조사 및 진출 전략 컨설팅, 크라우드펀딩 컨설팅
[수출바우처] 홈트 운동기구 제조사, 더밸런스코리아(2021) 자세교정기 해외 시장조사 및 진출 전략 컨설팅, 크라우드펀딩 컨설팅
[수출바우처] 탈모예방 샴푸 제조사, OOO
미국 진출을 앞두고 미국 탈모시장, 경쟁사, 스타트업 조사 / 미국 진출전략 및 크라우드펀딩 캠페인, 향후 마케팅, 세일즈 방안 제시
[수출바우처] 탈모예방 샴푸 제조사, OOO 미국 진출을 앞두고 미국 탈모시장, 경쟁사, 스타트업 조사 / 미국 진출전략 및 크라우드펀딩 캠페인, 향후 마케팅, 세일즈 방안 제시
[수출바우처] 자동 탈봉기 제조사, 대성
양봉 자동화 기기 제조사 대성의 해외진출을 위한 글로벌 시장조사, 진출전략 제시 / 수출시 통관을 고려한 제품기획, 인증 컨설팅 / 사전 마케팅, 시장검증 차원의 크라우드펀딩 캠페인 가이드 제공
[수출바우처] 자동 탈봉기 제조사, 대성 양봉 자동화 기기 제조사 대성의 해외진출을 위한 글로벌 시장조사, 진출전략 제시 / 수출시 통관을 고려한 제품기획, 인증 컨설팅 / 사전 마케팅, 시장검증 차원의 크라우드펀딩 캠페인 가이드 제공
[수출바우처] 산업용 드론 제조사, OOOOOO
미국 시장 진출을 앞두고 경쟁사 분석 및 진출전략 수립 / 수출을 고려한 제품설계 및 인증 확보방안 제시 / 사전 마케팅 차원의 크라우드펀딩 캠페인시 가이드 제공
[수출바우처] 산업용 드론 해외 시장 제조사, OOOOOO 미국 시장 진출을 앞두고 경쟁사 분석 및 진출전략 수립 / 수출을 고려한 제품설계 및 인증 확보방안 제시 / 사전 마케팅 차원의 크라우드펀딩 캠페인시 가이드 제공
[해외 진출 전략] BIPV 태양광 글로벌 넘버1 아반시스코리아
동남아시아, 오세아니아 시장 진출을 앞두고 시장조사 실시 /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현지인을 통한 조사 실시 / 우선 진출국가 추천 및 진출 전략 및 세부방안 제시
[해외 진출 전략] BIPV 태양광 글로벌 넘버1 아반시스코리아 동남아시아, 오세아니아 시장 진출을 앞두고 시장조사 실시 /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현지인을 통한 조사 실시 / 우선 진출국가 추천 및 진출 전략 및 세부방안 제시
해외 시장
이 사이트(www.kiri.or.kr)는 보험연구원의 소유 입니다.
개인정보의 수집목적 및 이용
보험연구원은 회원에게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필요한 고객정보 외에는 불필요한 정보 수집을 하지 않습니다. (단, 필수 기재 항목 외에 선택항목에 대한 정보 수집은 예외로 합니다.) 회원으로부터 취득한 정보는 회원가입 및 이용 ID 발급, 회원 개인정보를 이용하는 서비스, 회사가 제공하는 서비스 및 계약의 성립 또는 인구 통계학적 분석 (회원의 연령별, 성별, 지역별 통계 분석),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를 수집하고, 이를 서비스 방침에 반영 (서비스 개편 및 확대) , 기타 새로운 서비스, 행사나 자료 정보 안내에만 사용될 것입니다. 회원으로 가입할 때 수집된 모든 정보는 해당 서비스 제공이나 회원님께 사전에 밝힌 목적 이외의 다른 어떠한 목적으로도 사용되지 않습니다.
개인정보의 수집 항목
필수정보 : 아이디, 비밀번호, 성명, 전화번호, 직업, 직급, 부서, 이메일, 뉴스레터 수령여부
기타 : 홈페이지 가입경로, 흥미사항, 보험연구원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구분사항
회원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안전조치
회원의 개인 정보는 회원이 로그인 했을 경우에만 보이며, 이것은 회원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에 의해 관리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회원에게 부여된 회원아이디 및 패스워드의 관리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특수한 경우, 허가 받은 관리자만이 회원 정보를 수정, 조회하고 있습니다.
회원 정보의 열람 및 정정 방법과 절차
회원은 자신이 제공한 회원 정보를 열람 할 수 있으며, 수정을 요구할 권리와 삭제를 할 권리(탈퇴의 권리포함)가 있습니다. 회원 정보의 열람 및 수정은 회원정보 수정을 통해 정해진 순서에 따라 언제든지 하실 수 있습니다. (단, 회원정보 수정의 경우, 아이디나 성명, 주민등록 번호의 변경은 가입회원 실명제 정책에 따라 회원님께서 직접 수정하실 수 없으나, 보험연구원(http:해외 시장 //www.kiri.or.kr)의 관리자 ([email protected]) 에게 메일로 요청하면 24시간 내에 처리됩니다.
개인정보 수집에 대한 동의
보험연구원에서는 회원가입을 원하시는 고객에게 보험연구원의 개인정보취급방침 또는 이용약관 내용에 대해 혹은 버튼을 클릭 할 수 있는 절차를 마련하여, 버튼을 클릭한 경우에만 개인정보 수집에 대해 동의 한 것으로 봅니다.
회원가입 가입과 탈퇴의 자유
회원가입은 반드시 이용약관의 동의 절차를 거치며, 회원 탈퇴 시에도 탈퇴에 따른 개인정보의 폐기와 회원으로서 권리소멸 등을 명확히 고지하는 절차를 거칩니다. 탈퇴를 희망할 시에는 사이트의 회원탈퇴 메뉴를 통해 정해진 순서에 의해 처리할 수 있습니다. 또는 보험연구원의 관리자 ([email protected])에게 메일로 요청하시면 처리 됩니다. (* 주의 : 회원 탈퇴를 하시면 그 즉시 모든 고객정보와 기록이 재생 불가능 하도록 폐기되며, 아이디 및 기타 정보 사항의 권리도 함께 사라집니다.따라서 복구 요청 시 불가능 하므로 신중하게 하셔야 합니다.)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과 공유 및 3자 제공
회원의 개인정보는 보험연구원 회원으로서 서비스를 받는 동안 계속 보유하며, 서비스 제공을 위해 이용합니다. 회원의 정보는 회원 탈퇴 시 재생이 불가능 하도록 완전 삭제 됩니다. 회원님의 개인정보는 정보통신망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24조의 규정에 따라 타인에게 제공, 활용시 본인의 동의를 얻어야 하는 정보입니다. 보험연구원은 법률에서 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회원님의 동의 없이 회원님의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개인정보 관리
보험연구원은 개인정보 보호 및 서비스 이용에 대한 각종 활동에 대하여 회원들의 의견과 불만을 제기 할 수 있는 창구를 개설하고 있습니다. 개인 정보와 관련한 불만이 있으신 분은 보험연구원의 관리자 ([email protected])에게 의견을 주시면 즉시 접수,조치하여 처리결과를 통보해 드립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
성명 : 김형길
직위 : 담당역
전화 : 02-3775-9119
주소 : 서울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6길 38 (여의도동 35-4)
이메일 : [email protected]
평일 : 09:00~ 18:00
토요일 및 휴일 제외
제1장 총칙
제1조 목적
이 약관은 보험연구원에서 운영하는 사이트(이하 "KIRI"라 합니 다)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관련 서비스의 이용조건 및 절차에 관 한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2조 정의
(1) "KIRI"이란 보험연구원이 운영하는 사이트 ( http://www.kiri.or.kr )를 말합니다.
(2) "이용자"란 KIRI에 로그인하여 본 약관에 따라 "KIRI"가 제공 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또는 비회원을 말합니다.
(3) "회원"이라 함은 "KIRI"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회원등록을 한 자로서 "KIRI"의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받으며, "KIRI"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계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자를 말합니 다.
(4) "비회원"이라 함은 회원에 가입하지 않고 "KIRI"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자를 말합니다.
제3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본 약관은 이용자에게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보험연구원은 본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변경된 약관은 "KIRI" 화면에 별도 공지하게 됩니다.
이용자가 변경된 약관에 동의하지 아니하는 경우 이용자는 본인의 회원등록을 취소할 수 있으며, 계속 사용하는 경우는 약관 변경에 대한 동의로 간주됩니다.
변경된 약관은 전항과 같은 해외 시장 해외 시장 방법으로 효력을 발생합니다.
제4조 약관 외 준칙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이 국내 관계법령에 규정되어 있 을 경우에는 그 규정에 따릅니다.
제2장 회원 가입과 서비스 이용
제1조 이용 계약의 성립
(1) 이용 계약은 이용자의 이용 신청에 대한 보험연구원의 이용 승낙과 이용자의 약관 내용에 대한 동의로 성립됩니다. (2) 회원에 가입하여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희망자는 보험 연구원에서 요청하는 개인 신상정보를 제공해야 합니다. 이 용자가 제공한 개인정보는 본 약관에 따라 철저히 보호됩니 다.
제2조 이용 신청의 제한
(1) 보험연구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신청에 대하 여는 이를 승낙하지 아니합니다.
①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신청하였을 때
② 이용 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여 신청하였을 때
③ 사회의 안녕 질서 혹은 미풍양속을 저해할 목적으로 신청하 였을 때
④ 부당한 목적으로 회원의 가입 탈퇴를 월 3회 이상 반복하는 경우
⑤ 기타 보험연구원이 정한 이용 신청 요건이 미비되었을 때
제3조 서비스 이용
(1) 서비스 이용은 보험연구원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 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을 원칙으로 합니다.
(2) 제1항의 이용시간은 정기점검 등의 필요로 해외 시장 인하여 보험연구 원이 정한 날 또는 시간은 적용하지 아니합니다.
(3) 제2항의 경우에는 사전에 중단 사유와 기간을 공고합니다. 다만, 불가피한 사정이 있는 경우 사전공고는 생략될 수 있 습니다.
제3장 책임
제1조 보험연구원의 의무
(1) 보험연구원은 이 약관에서 정한 바에 따라 계속적, 안정적 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의무가 있습니다.
(2) 보험연구원은 이용자의 개인신상정보를 본인의 승낙없이 타 인에게 누설, 배포하지 않습니다.
다만, 전기통신관련법령 등 관계법령에 의하여 관계 국가기 관 등의 요구가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3) 보험연구원은 이용자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 하다고 인정할 경우에는 즉시 처리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에는 이용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합니다.
(4) 보험연구원은 이용자가 원하지 않는 영리목적의 광고성 전 자우편을 발송하지 않습니다.
제2조 이용자의 의무
(1) 아이디와 비밀번호에 관한 모든 관리의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자신의 아이디가 부정하게 사용된 경우, 이용자는 반드시 보 험연구원에 그 사실을 통보해야 합니다.
(3) 비밀번호 분실시 통보는 e-mail로 안내하며, 제 2항의 규정 에도 불구하고 회원의 e-mail 주소 기입 잘못 등 본인 과실 및 본인 정보 관리 소홀로 발생하는 문제의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4) 이용자는 이 약관 및 관계법령에 규정한 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제4장 계약 해지 및 서비스 이용제한
제1조 계약 해지 및 이용제한
이용자가 이용 계약을 해지 하고자 하는 때에는 이용자 본인이 직접 온라인을 통해 회원탈퇴 메뉴를 선택하여 해지 신청을 하 여야 합니다
보험연구원은 이용자가 다음 사항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였을 경 우 사전 통지 없이 이용 계약을 해지하거나 또는 기간을 정하여 서비스 이용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공공 질서 및 미풍 양속에 반하는 경우
(2) 범죄적 행위에 관련되는 경우
(3) 이용자가 국익 또는 사회적 공익을 저해할 목적으로 서비스 이용을 계획 또는 실행할 경우
(4) 타인의 서비스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도용한 경우
(5) 타인의 명예를 손상시키거나 불이익을 주는 경우
(6) 같은 사용자가 다른 아이디로 이중 등록을 한 경우
(7) 서비스에 위해를 가하는 등 서비스의 건전한 이용을 저해하 는 경우
(8) 기타 관련법령이나 보험연구원이 정한 이용조건을 위배하는 경우
제2조 이용 제한의 해제 절차
(1) 보험연구원은 제1조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제한을 하고자 하 는 경우에는 그 사유, 일시 및 기간을 정하여 서면 또는 회 원등록시 기재한 전화나 e-mail 등의 방법에 의하여 해당 이용자 또는 대리인에게 통지합니다.
다만, 보험연구원이 긴급하게 이용을 정지할 필요가 있다 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정지의 통지를 받은 이용자 또 는 그 대리인은 그 이용정지의 통지에 대하여 이의가 있을 때에는 이의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3) 보험연구원은 제2항의 규정에 의한 이의신청에 대하여 그 확인을 위한 기간까지 이용정지를 연기할수 있으며, 그 결과 를 이용자 또는 그 대리인에게 통지합니다.
(4) 보험연구원은 이용정지 기간 중에 그 이용정지 사유가 해소 된 것이 확인된 경우에는 이용정지 조치를 즉시 해제합니다.
제3조 이용자의 게시물
보험연구원은 이용자가 "KIRI"에 게시하거나 등록하는 내용물이 다음 각 사항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사전 통지없이 삭 제 할 수 있습니다.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 를 손상시키는 내용인 경우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인 경우
(3) 범죄적 행위에 결부된다고 인정되는 내용인 경우
(4)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내용인 경우
(5) 기타 관계 법령이나 보험연구원에서 정한 규정에 위배되는 경우
제5장 저작권의 귀속
(1) "KIRI"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 및 기타 지적재산 권은 보험연구원에 귀속합니다.
(2) 이용자는 "KIRI"(이메일서비스 포함)를 이용함으로써 얻은 정 보를 보험연구원의 사전 승낙없이 복제, 송신, 출판, 재배포, 방송, 기타 방법에 의하여 영리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3) "KIRI"에서 링크를 통해 제공하는 다른 사이트의 비밀 보장과 그 사이트의 내용에 관해서 보험연구원은 책임지지 않습니 다.
보험연구원은 이용자가 "KIRI"에 게시하거나 등록하는 내용 물이 다음 각 사항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제1조 시행일
이 약관은 2008년 6월27일 부터 시행합니다.
보험연구원은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 2, 제50조의 7 등에 의거하여 본 웹사이트에 개제된 이메일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 등을 이용하여 이메일 주소를 무단으로 수집하는 행위를 거부합니다.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전체메뉴
해외 시장
마케팅 전략(14) - 해외시장 진출 전략
-
본문 폰트 크기 조정 본문 폰트 크기 작게 보기 본문 폰트 크기 크게 보기 가
중소기업이 한국형 강소기업(K Champ)으로 전환하는 데 있어 도움을 주고자 노력하는 '강소 제조인'입니다.
이번에는 마케팅 전략의 일환인 글로벌화 관련 '해외시장 진출 전략'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해외시장 진출 방식은 간접 수출 → 직접 수출 → 라이선스 → 판매 법인 → 합작투자 → 직접투자 순으로 활동 규모와 해외시장의 몰입 정도가 점진적으로 확대되고 있음.
● 해외시장 진출 방법
가장 단순한 방식인 일회성 거래의 형태로 단기적이며 위험도가 낮음.
주로 현지 기업과의 계약에 의해 운영
라이선싱, 프랜차이징, 계약생산, 관리 생산, 턴키 생산, BOT 방식
통제의 강도가 가장 큰 형태로 많은 자금과 인력 투입 및 위험이 높음.
단독 투자, 합작투자, 신설, 인수/합병
국내외 전문 무역업체나 해외 바이어를 통한 수출
• 전문 무역업체의 경험과 지식 활용
• 해외시장 정보 습득 기회 제한
자체 수출 관련 부서를 통한 수출
• 국제 시장 경험 및 지식 축적
• 시장 정보 수집 및 적극적 마케팅 노력 필요
목표 시장의 기업에게 기술이나 무형자산, 인력자원 등을 이전해 주는 계약관계를 통해 시장에 진입하는 방법
• 진출예정국에 수출이나 직접투자에 대한 무역 장벽이 존재할 경우
• 상품을 국가 간에 직접 이동시키는 비용이 많이 소요될 경우
• 이전 방법이 복잡하거나 비용이 많이 소용되는 무형자산의 경우
• 투자국의 정치적 위험이 큰 경우
• 자사 해외 시장 브랜드나 기술에 대한 보호와 통제의 어려움.
• 직접 현지 마케팅 활동이나 생산활동을 하는 것에 비해 이익이 적음.
넓은 의미로 보면 라이선스의 한 형태로 제공기업이 상호, 상표, 기술 등의 사용권을 특정 기업이나 개인에게 허용할 뿐 아니라 상대방에 대해 조직, 마케팅 및 일반 관리 분야에서의 지원을 제공하며 원료를 공급하는 등 양자가 지속적이며 포괄적인 관계를 유지함.
• 적은 자본, 기술로도 해외시장 확대 가능.
• 품질이 표준화되어 자사 브랜드 이미지를 유지 및 통제
• 계약조건에 해당국 정부의 제한이 가해질 수 있음
(Market-seeking)
• 새로운 소비시장 또는 판매기회에 접근 (예) Boeing, Coca-cola, IBM, Toyota 등
• 핵심 고객 지원을 위해 현지로 진출 (예) 현대·기아자동차와 부품 공급업체
• 경쟁자의 내수시장으로 진출 (예) Caterpillar vs Komatsu
2) 자원 추구(Resource-seeking)
• 에너지, 광물 및 농업에서 원재료에 대한 접근성 강화 (예) 광업, 석유, 농업 분야
• 해외 시장 해외 시장 해외 시장 무형자산(지식/경험/노하우)의 공유 (예) GM과 Toyota의 NUMMI
• 전략적 시장에서 핵심 역량의 확보 (예) 첨단 기술 집약적 업종
(Efficiency-seeking)
• 구매 및 생산 비용 절감 (예) 글로벌 소싱
• 전략적 시장 + 구매자를 고려하여 생산 입지 결정 (예) 수출 기업(한세실업, 세아상역)
• 해당 정부의 유인(인센티브) 활용
• 관세/비관세장벽 우회 → 원산지 규정 회피
빠른 정보 파악으로 현지 네트워크 형성이 유리하나 합작 파트너와의 조정이 어려우며 경쟁자의 위험이 상존
완전한 통제에 따른 위험부담이 큼.
• 신설 투자 : 유연한 선택과 오랜 준비 기간의 필요.
• 인수합병 : 빠른 속도로 진입이 가능하나 상당한 프리미엄의 지급과 회생비용 부담이 크며 높은 수준의 관리 기술이 필요
• 수출 → 판매 법인 → 생산법인 설립 등 순차적으로 해외 진출 (Johanson&Vahlne)
• 동시다발적이기보다는 환경이 비슷한 국가에서 상이한 국가로 순차적 진입(Davidson)
• 경쟁우위가 강한 사업분야에서 약한 사업 분야로 순차적 진입
다각화전략이 기업이 갖고 있는 경영자원과 핵심 역량을 새로운 사업분야에 적용하여 시너지를 창출하는 것 이라면, 해외시장 진출 전략은 기존의 사업분야에서 해외시장으로 진출하여 시장을 확대하는 것으로 해외 사업에 대한 경험과 투자대상국의 정치, 경제, 문화적 환경에 대한 이해 여부가 성공요건임.
● 해외시장 진출 전략
Beach Head 전략
• 고가 제품 기능 제거 → 저가
• 저가 제품 기능 추가 → 고가
• 수평 + 수직 혼합 해외 시장 전략
• 저가 제품 기능 추가 → 고가
• 고객 요구, 신 제품개발 /진출 및 전 제품 이익 창출 용이
• 너무 많은 제품 플랫폼
• 낮은 제조기술, 높은 제조원가, 낮은 이익구조
• 해외 시장 기본 플랫폼 문제 있으면 연이어 개발된 신규 제품 모두에 문제 발생 가능성 있음.
• VRP 기법 적용으로 부품 최소화, 공정 단순화, 원가경쟁력 확보
• 국제시장 지역에 따라 플랫폼, 시스템, 제조공정 다각화 필요
• 고가 제품으로 저가 시장 공략은 일반적으로 어려움.
• Beach Head 전략을 일부러 사용하려는 노력은 불필요
∎ 교두보(Beach Head) 전략
• 교두보 전략은 신규 시장에 첫 발판을 구축하는데 목표를 둠.
- 국가 단위의 시장 점유율을 늘리는데 관심을 쏟는 경우 지리적 출시 전략을 사용하며 주요 도시에서 출발하여 교두보를 확보한 뒤 그 아래 규모의 도시에서 분산 전략이나 침투 전략을 진행
∎ 침투 전략 (Early-Bird 전략)
• 기업들이 기존 제품으로 기존 시장에서 매출액 을 높이기 위한 전략 으로 제품의 가 격을 내리거나 제품의 광고 및 판촉을 증가시키거나 소매상의 점포 수를 늘리는 등의 다양한 마케팅 방법을 통해 기존 고객의 제품 사용률, 사용량 또는 사용 빈도를 늘려 판매를 촉진시키는 전략
⦁ 경쟁사들의 시장 진입 전에 가능한 많은 잠재 고객들의 구매 창출을 위해 단위당 제품 원가를 낮추고 확보된 초기 고객들의 브랜드 충성도를 높이는 전략
특허에 의한 기술 보호, 핵심원료/부품에 대한 공급원의 제한, 시장 진입 장벽이 높은 경우 효과적
⦁ 마케팅을 집중시켜 선도적인 점유율을 확보하는 전략
- 진입장벽이 높지 않고 충분한 자원과 능력을 갖추지 못한 신규 해외 시장 개척 기업에 적합
※ 맥도날드가 중국에서 펼친 전략으로 홍보 비용이 낮고 경쟁업체가 별로 없을 때 수요곡선을 앞질러 매장을 오픈함. 적은 비용으로 최고의 지역 가맹점 파트너는 물론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장소를 확보하여 경쟁에서 우위를 선점하였으며 브랜드 인지도를 높일 수 있었음.
• 선정된 지역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 을 기록하는데 목표를 둠.
⦁ 틈새전략의 핵심은 집중화(전문화)임.
- 틈새전략을 채택하는 기업은 특정한 고객과 제품 및 서비스, 그리고 마케팅믹스의 조합 중에서 자신의 역량에 맞는 부문에 특화해 집중해야 성공할 수 있음.
① 고객의 용도별 - 고객의 최종 용도에 따라 특화하는 방법
② 고객 규모별 - 고객의 규모에 따라 소규모, 중간 규모, 대규모 등으로 전문화하는 방법
③ 특정 고객 - 중소기업 중에는 소수의 대형 거래처만을 상대로 하는 업체도 많음.
➃ 특정 제품 - 하나의 제품계열이나 특정 제품만을 생산하는 전략
⑤ 품질/가격 - 특정 품질이나 가격에 주력하는 전략
⑥ 유통경로 - 유통경로별로 전문화를 추구하는 전략
교두보 (Beach Head) 전략
신규 시장에 첫 발판을 구축하는데 목표를 둠
많은 시장에서 두루 시장 점유율을 확보
침투 전략(Early-Bird 전략 )
기업들이 기존 제품으로 기존 시장에서 매출액 을 높이기 위한 전략
선정된 지역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 을 기록하는데 목표를 둠
특정한 고객과 제품 및 서비스 , 그리고 마케팅믹스의 조합 중에서 자신의 역량에 맞는 부문에 특화해 집중
기술의 발전을 통하여 새로운 제품 / 서비스를 만들어 새로운 시장을 창출 하는 것
4차 산업혁명시대에 중소기업이 한국형강소기업(K Champ)으로 거듭 태어나 지속가능한 경영활동을 할 수 있도록 개발, 제조 및 혁신활동 부문의 製造人 핵심역량 확보/강화를 지원하기 위해 존재합니다. 현재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경영 진단 및 역량강화 컨설팅, 2세 경영인 코칭/멘토링, 창조경제센터 멘토, 스마트공장 구축 전문위원, 코디네이터와 스마트마이스터로 활동 중입니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