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D Swiss 플랫폼의 세부사항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1월 15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1. 이미 확보된 충성도 높은 유저
2. 어떠한 핀테크 플랫폼보다 많은 유저를 보유함
3. 매출 비중이 Defi 뿐만아닌 다양한 매출 모델이 있으며 유저들은 Defi를 사용하는지도 모르는 UX

크리살릭스 성형외과의사 찾기

3D 원격 상담 또는 원격 진료를 통해 환자가 가상으로 업무실에 방문할 수 있도록 하여 수술을 고려하는 사람들을 위해 전문 지식을 제공하고 향후의 개입을 확보하여 다른 클리닉과 차별화합니다. 여기에서 더 많은 예를 확인하십시오.

Crisalix 인공 지능 기술은 소셜 미디어 계정이나 웹 사이트에 간단히 추가할 수 있는 개인 Crisalix 링크를 통해 스마트폰에서 3장의 셀카를 업로드하는 것만으로 환자가 얼굴이나 가슴의 3D를 몇 초 만에 자동으로 쉽게 만들 수 있는 3D 온라인 상담을 제공하는 시장에서 유일한 솔루션입니다.

Crisalix는 고급 기능을 통해 환자와 화면을 공유하여 환자의 비대칭, 비율, 볼륨 및 기타 주요 해부학적 측면을 검토하여 환자 자신의 3D 이미지로 교육할 수 있는 기밀 비디오 회의 기능이 포함된 보안 e-헬스 앱으로, 직접 만나서 진행하는 클리닉 상담과 동일하게 환자가 치료 결정에 직접 참여하고 높은 수준의 상담을 유지합니다. 환자의 3D 시뮬레이션 전후에 대해 상의하고 동의함으로써 3D 가상 방문은 환자와 신뢰를 쌓고 환자가 수술을 예약하도록 장려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Crisalix는 COVID-19 금지 제약과 포스트 COVID-19 사회적 거리 두기 권고에 대한 해결책으로 여러 국가 사회에서 추천되고 있습니다.

Crisalix는 성형외과 의사 및 피부과 전문의가 더 많은 것을 유치, 교육 및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독점적인 원격은 물론 클리닉 3D 과학 이미징 플랫폼에서도 이러한 디지털 혁명을 통해 HCPs 등의 최고의 파트너로 선정되었습니다.

1월 25일, 솔라나 x 맵스미 AMA 총정리

2021년 1월 25일, 맵스미의 비즈니스 개발 책임자(BD) Tina와 함께 솔라나 한국 텔레그램 커뮤니티에서 AMA를 진행했습니다.

[Phase 1. Introduction — 맵스미 Business Developer, Tina 및 프로젝트 소개]

오늘 AMA에서 답변을 해주시는 Tina의 본인 소개가 있겠습니다.

A: 안녕하세요, 저는 맵스미 이전에 홍콩의 골드만 삭스의 자산 관리 플랫폼Fixed Income trading에서 팀장으로 근무했습니다. 맵스미의 경영진은 미래의 금융 인프라를 열정적으로 구축하고 있으며 수십 년간 핀테크 산업 경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우선, 공동 설립자 알렉스 그레브네프(Alex Grebnev)는 16년 이상의 투자 은행(IB) 업무 경험을 보유하고 있으며 (메를린치, 골드만 삭스의 파생 상품 그룹 전무 이사). 빅토르(Viktor)는 연쇄 기술 기업 창업가이며 여러 대기업에서 CIO로 일했습니다. 또한 알라메다 리서치(Alameda Research)와 FTX의 설립자이자 CEO 인 샘 뱅크만 프레드(Sam Bankman-Fried)이 맵스미의 전략적 어드바이저로 함께 하고 있습니다.

AMA 를 앞서 맵스미에 대한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Maps.me는 오프라인 지도 및 여행 앱입니다. 이미 9년간 총 1억 4천만 다운로드와 높은 평점을 받고 있으며 여러분들의 여행 필수 애플리케이션으로 더욱 더 발전 하려고 합니다. 전체 사용자중 절반이 유럽 유저이며 Maps.me의 강점으로는 인터넷 없이 여행 중 오프라인 지도 검색 기능이 있습니다.

맵스미의 지도는 오픈 소스 특성 덕분에 분수, 쓰레기통, 숨겨진 트레일과 같은 놀라운 세부 정보를 제공합니다. 맵스미는 폭 넓은 유저 베이스가 있으며 비행기 조종사, 내셔널 지오그래픽 전문 사진 작가, 탄자니아의 인도주의 단체등의 다양한 배경의 사용자도 애용하는 어플리케이션입니다.

작년 맵스미 어플을 알리바바에 투자했던 러시아 인터넷 대기업 메일루(Mail.ru) 그룹으로부터 2 천만 달러에 인수했습니다. 저희의 목표는 1억 4천만 사용자에게 솔라나 블록 체인과 세럼(Serum)으로 구동되는 임베디드 지갑 경험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이는 실제 상용화된 애플리케이션과 탈중앙 금융 시스템 간의 역사상 가장 큰 통합 사례가 될 것입니다.

또한 알라메다 리서치가 리딩하는 펀딩 라운드에서 총 5 천만 달러를 모금했습니다. 암호 화폐 대출 기관인 제네시스 캐피탈(Genesis Capital)과 기관 암호화폐 운용사 CMS Holdings도 본 펀딩 라운드에 참여했습니다.

[Phase 2. Pre-Question AMA]

많은 분들이 맵스미 사전질문 이벤트를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지금부터 선택된 질문과 답변을 받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사전 BD Swiss 플랫폼의 세부사항 질문이 끝난 후 실시간 질문이 진행됩니다.

Q1. 기존 서비스와 디파이 서비스가 추가된 맵스미 2.0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디파이 서비스를 왜 도입했으며 언제부터 사용 가능할까요?

현재 맵스미는 오프라인 지도와 여행 앱입니다. 맵스미 2.0은 솔라나 기반 다중 통화 지갑을 지원합니다.

사용자는 지갑을 통해 아래와 같은 이점을 얻습니다:

지속적 소득 획득: 사용자가 입금한 BD Swiss 플랫폼의 세부사항 법정화폐는 솔라나 블록체인 기반 렌딩 프로토콜과 연동되어 연이율 8% 이자소득을 발행시킵니다. 맵스미 사용자는 대부분 유럽에 거주하고 있으며, 유럽의 평균적인 이자율은 0%에 가깝습니다. 따라서 맵스미 2.0 지갑이 제공하는 이자는 사용자들에게 매우 매력적으로 받아들여질 것이라 생각합니다.

스마트한 외환 거래: 맵스미 지갑을 통해 수수료 없이 35개국 통화를 보관하거나 가장 저렴한 환율로 교환할 수 있습니다.

지갑을 통한 외환 결제: 해외여행은 즐겁지만, 3–5%에 달하는 외환 송금 수수료를 은행에 매번 지불하는 과정은 결코 즐겁지 않습니다. 맵스미 지갑을 해외 가맹점 결제나 호텔 예약에 사용하면 해외 결제 과정에서 수수료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실시간 전송: 가장 쉽고, 가장 빠르게 친구, 애인, 가족에게 돈을 송금할 수 있습니다.

향후 맵스미 지갑은 세럼 DEX와 솔라나를 통해 트레이딩 서비스와 글로벌 자본 시장에 대한 접근성을 제공할 겁니다.

구체적으로 두가지 DeFi 기능이 지갑에 통합될 예정입니다. 우선 사용자들은 솔라나 기반 렌딩 프로토콜 ‘옥시젠(Oxygen)’을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두번째로 세럼 DEX 기반으로 만들어진 DeFi 기능을 통해 선물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1억 4천만 사용자들은 지갑을 통해 실사용 어플리케이션과 탈중앙화 금융 시스템간 역사적인 만남의 주인공이 될 것입니다.

Q2. 맵스미는 원래 지도 앱에 블록체인을 적용한 모델입니다. 블록체인을 도입할 때 다양한 블록체인 플랫폼 중 솔라나를 선택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현재 DeFi 프로젝트들은 블록체인 때문에 대중화에 필수적인 요소들(충분한 속도, 처리량, 낮은 수수료)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맵스미는 솔라나 블록체인과 세럼 DEX 유동성을 활용하기 때문에 BD Swiss 플랫폼의 세부사항 빠르고 확장 가능한 DeFi 기능을 제공합니다.

굉장히 높은 처리량을 가진 솔라나 체인이 등장하기 전까진 이러한 것들이 불가능했습니다. 솔라나는 초당 50,000 트랜잭션까지 처리할 수 있습니다. (비자 — 65,000/sec) 수수료 또한 매우 저렴해 1백만 트랜잭션 당 $10 가량 소모됩니다. 따라서 솔라나만이 맵스미 사용자를 지원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게다가 세럼은 풍부한 금융 생태계를 조성하고 있습니다. DeFi의 복합성은 맵스미의 기능을 통합하거나 확장한 프로젝트들이 언제든 허가없이 조성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맵스미가 디파이 생태계에서 필수적인 레고 머니로 자리잡고 시너지를 냄으로써 여행과 금융의 미래를 바꿀 것입니다.

Q3. 맵스 토큰은 맵스미 생태계에서 어떻게 작용하나요? 맵스 토큰 보유자는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토큰에 대한 수요를 발생시키기 위한 어떤 계획이 있을까요?

MAPS 토큰은 1억 4천만 사용자를 연결해주는 매개체입니다. 토큰은 유틸리티 및 거버넌스 기능을 둘 다 제공합니다. 맵스미에서 발생하는 순수익은 100% 모두 토큰 소유자에게 돌아갑니다.

MAPS는 항공사 마일리지처럼 사용자에게 친숙한 로열티 프로그램 역할을 합니다. 사용자는 앱을 통한 호텔 예약과 같이 생태계와 상호 작용하여 더 많은 MAPS를 얻을 수 있습니다. 소비자는 MAPS를 충전하여 더 높은 수율과 같은 증가된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기업은 검색 결과에서 더 높은 위치에 표시되는 것과 같이 광고에 MAPS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각 토큰은 또한 한 표를 의미하며 토큰 보유자는 묶여있는 거버넌스 이니셔티브에 투표합니다. 거버넌스 활동에는 잠재적으로 경제 및 수수료에 대한 제안과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자산에 대한 결정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Q4. 한국에는 구글맵스, 카카오 지도, 네이버 지도 등 전통 레거시 지도 앱들이 많이 있습니다. 한국 시장에서 이들과 경쟁할 맵스미만의 강점은 무엇이고 앞으로 한국에서의 사업 계획은 무엇인가요?

저희의 제품과 포지셔닝 측면에 대해서 말씀드리자면, 맵스미 2.0은 1억 4천만 사용자에게 DeFi 기능을 기반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 지도 모두를 지원합니다. 또한 맵스미는 오픈 소스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그들 지역의 세부 정보를 매핑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즉, 맵스미는 쓰레기통, 분수대, 공공 화장실, 숨겨진 경로 등의 매우 구체적인 세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기쁘게도 저희는 한국 커뮤니티가 맵스미에서 열정과 창의성을 발휘하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또한 맵스미는 다음과 같은 독특하고 강력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1. 오프라인 GPS 내비게이션 및 매핑 기능 (사용자가 신호에 의존하지 않고 위치를 탐색하기 위해 오프라인 데이터를 다운로드 할 수 있음을 의미 함)

2. 북마크 기능 (사용자가 좋아하거나 추억이 깃든 장소에 레이블을 지정하고 저장할 수 있도록 허용)

3. 전문가가 만든 여행 가이드 다운로드 및 Booking.com과의 통합과 같은 프로 여행자를 위한 부가가치 기능

MAPS 토큰은 토큰 소유자에게 플랫폼 순수익의 100%를 제공하여 맵스미 2.0이 운영될 수 있도록합니다. 앱을 사용하는 토큰 소유자는 개별적인 프로모션 및 보상 혜택을 받습니다.

Q5. 맵스미의 최종 목표는 무엇인가요? 맵스미의 향후 로드맵이 궁금합니다.

맵스미 2.0의 궁극적인 비전은 수억 명의 사람, builder 및 사용자 모두에게 무한한 재정적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전세계적으로 사용되는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입니다.

로드맵에 관해서는 맵스미 2.0의 앱 업데이트가 2020년 12월 출시되었으며 지갑의 베타 출시와 3월을 목표로한 정식 출시가 있었습니다. 지갑 대기자 명단에 등록한 사람은 이미 3만 명 이상입니다.

추후에는 트래픽 구축, 유기적 고객 유지 및 플랫폼의 유동성이 누적됨에 따라 점점 더 정교한 금융 서비스를 구현할 것입니다.

[Phase 3. Live AMA]

Q1. 최근 디파이 프로젝트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는데 MAPS가 장기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맵스미가 다른 Defi 프로젝트와 다른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이미 확보된 충성도 높은 유저
2. 어떠한 핀테크 플랫폼보다 많은 유저를 보유함
3. 매출 비중이 Defi 뿐만아닌 다양한 매출 모델이 있으며 유저들은 Defi를 사용하는지도 모르는 UX

Q2. 맵스미에서 한국 지도를 보고 생각보다 많은 정보가 있어서 놀랐네요. 당신들은 그 정보 업데이트는 어떻게 하는가요?

그것은 뛰어난 기능으로 저희가 시장을 선도하는 오프라인 지도가된 비결입니다. OpenStreetMap을 사용해 유저가 직접 지도의 세부사항을 추가하거나 수정할 수 있으며 화장실, 휴지통, 그리고 밴치까지도 찾을 수 있는 지도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Q3. 맵스미가 투자받은 자금은 모두 TMF 신탁으로 예탁되나요? 모금된 자금을 어떻게 처리할지 궁금합니다.

맵스미 사용자가 자산을 지갑으로 입금시 모든 펀드는 TMF 신탁, 스위스 소재의 신탁사에 3자 예탁됩니다. 다음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maps.me/trust

Q4. 맵스 토큰을 가지고 있는 홀더들은 맵스의 수익을 공유한다고 했는데 어떤 방식으로 수익을 얻게 되나요? 구체적인 혜택은 무엇인가요?

앱에서 발생한 100%의 순이익이 MAPS 홀더들의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Buy & Burn 진행시 사용합니다. 추가적으로 유저들은 MAPS 를 사용해 호텔 맴버십 프로그램과 같은 추가적인 보상과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간단한 예시로 MAPS 토큰을 충전하고 더욱 높은 예금 이자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모든 유저는 생태계에서 활동함으로써 MAPS를 얻을 수 있으며 현금을 사용해 충전 수 도있습니다.

Q5. 맵스미는 알라메다 리서치, 제네시스 캐피탈, CMS Holdings 등 여러 펀드로부터 투자받았습니다. 이 투자금은 어떻게 활용되나요?

투자금은 맵스미의 DeFi 기능 개발에 사용될 예정입니다.

Q6. 현재 관광 업계는 코로나 펜더믹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지도 이용자의 60% 이상이 유럽인인데, 현재 유럽 상황은 최악이다. 사업을 진행해도 괜찮을까요?

코로나 바이러스가 터지고 2020년 3월에 사용자가 30% 감소한 것으로 측정됐습니다. 하지만 두 달 만에 다시 기존의 정상 수준으로 빠르게 돌아왔습니다. 만약 코로나 상황이 2020년에 나아진것이라면 앞으로 2021년에 더 향상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Q7. MAPS 바이백에 사용되는 수익은 맵스미 월렛의 수익만 포함되는건가요?

디파이 플랫폼 이외의 매출 모델은 다음과 같습니다.
소비자: 거래 수수료, 신용카드 사용 수수료, 외환 환전 수수료, 등등
사업체: 예약 중계 수수료, 광고 등등

[Phase 4. Closing]

현장에서 많은 질문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AMA 참여해주신 분들 모두 감사드립니다. MAPS 토큰은 내일 FTX와 Bitmax에서 IEO가 진행 될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AMA에 참여해 주신 여러분 감사합니다!

Industry Insights

Industry Insights는 딜로이트의 산업별 전문가들이 각 산업의 트렌드, 현황 및 시사점, 중요 사안 등에 대한 정보를 독자들과 나누고자 매월 정기적으로 제공하는 기고문입니다. 딜로이트만의 산업 전문가적 인사이트를 Industry Insights를 통해 만나 보십시오.

  • Deloitte Newsletter
  • Global Economic Review
  • Deloitte Insights
  • Voice of Asia
  • Industry Insights
  • Insights | Home

Deloitte Insights (No.21)

불확실성의 시대를 항해하다

Deloitte Insights는 기업의 Opinion Leader들께 시의적절하고 유의미한 산업이슈와 경영지식을 제공하고자 발행하는 비즈니스 저널입니다. 본 간행물은 사업 및 비즈니스 이슈에 대한 한국 딜로이트 그룹 전문가들의 시각과 비즈니스 사례를 제공하는 국내 기사와 최신 글로벌 비즈니스 이슈에 대한 딜로이트 글로벌의 시각을 담은 글로벌 연구자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인공지능 신뢰성을 높이는 Trustworthy AI

금융 대출 부도 예측 사례를 통한 블랙박스 설명

AI 기술의 획기적인 발전으로 딥러닝 기법은 신용 평가, 채무 불이행 예측, 이상 거래 탐지 등 금융 산업의 다양한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자동화하는 데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디지털 전환과 철강 산업

성공적인 추진을 위한 전략적 접근 제언

디지털 전환은 이제 실행 가능한 혁신 대안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갖는 시기를 넘었으며, 이제는 소수의 기업이 리스크를 감수하더라도 선제적으로 추진해보는 시기를 지나 다수의 기업이 본격적인 추진을 고민하는 확산기에 들어서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자동차 업계의 CX 플랫폼을 활용한 고객 경험 관리

자동차 산업에서는 기업 직원 중 80%는 자사가 경쟁사보다 차별화되고 우수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반면에, 고객의 10% 정도만이 차별화된 우수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석유 화학 산업의 디지털 전환

기술 확산과 적용 과제

석유 화학 산업은 디지털 전환 초기 단계에서 중간의 디지털 전환기로 이동 중에 있으며 가까운 시일 내에 파괴적 혁신이 가능한 체계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되는 산업이다.

생명과학 산업 내 Commercial Excellence 기능의 역할

COVID-19로 인한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에 따라, 생명과학 산업에서도 대면 영업 방식을 포함한 대규모 오프라인 이벤트 중심의 전통적인 프로모션 방식이 디지털 공간 및 온라인 채널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되었다.

디지털 SHE(안전·보건·환경) 트랜스포메이션

포스트 COVID-19 및 ESG 시대의 안전보건 패러다임 전환

COVID-19로 촉발된 사회, 경제적 변화와 사람들의 의식 전환으로 인해 기업들은 재무 목표 달성과 더불어 이해관계자의 안전, 보건, 환경 관점에서 이익을 극대화하는 비재무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시대가 도래했다.

최고지속가능경영책임자의 미래

금융기관을 중심으로

최고지속가능경영책임자, 즉 CSO(Chief Sustainability Officer)라는 직함이 등장한 지는 벌써 10년이 훌쩍 넘어가고 있으나 아직도 많은 이들이 CSO가 기업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잘 모른다.

코로나 이후 영화산업의 변화

OTT 개봉과 유료 VOD의 미래

전 세계 영화 관객들은 이제 영화관을 찾기보다는 집에서 영화를 즐기는 데 익숙해지고 있고, 유통과 배급은 직접 소비자에게 스트리밍하는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스마트팩토리 시대, 랜섬웨어에 맞서는 OT사이버보안

지난 2019년 세계 4위 합성 알루미늄 제조회사인 노르스크 하이드로(Norsk Hydro)에 이어 올해 미국 최대 정유제품 파이프라인을 운영 회사 콜로니얼 파이프라인(Colonial Pipeline)이 사이버 침해 사고로 생산 및 운영이 중단되고 데이터가 유출되는 등 대규모 피해를 입었다.

자동차 산업 가치사슬의 미래

2021 글로벌 부품 공급업체 리스크 모니터

COVID-19 팬데믹으로 자동차 산업이 직격탄을 맞은 가운데, 자동차 부품 공급업체들은 팬데믹 위기의 여파를 헤쳐 나가려 고군분투하면서도 자동차 산업 가치사슬의 전환에 발맞춰 전진하려는 노력을 펼치고 있다. 한국 딜로이트 그룹은 자동차 부품 산업의 리스크를 선제적으로 파악 및 대응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자동차 산업 가치사슬의 미래- 2021 글로벌 부품 공급업체 리스크 모니터’ 리포트를 발간했다.

붐비는 디지털 홈, 팬데믹으로 스트레스 테스트 받다

딜로이트 커넥티비티&모바일 트렌드 2021 서베이

COVID-19 팬데믹을 계기로 일상생활의 중심이 직장과 학교로부터 집으로 이동하면서 커넥티드 홈 관련 기술이 급부상하고 관련 수요가 치솟았다. 한국 딜로이트 그룹은 2021년 3월 미국 소비자 2,009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서베이를 기반으로, BD Swiss 플랫폼의 세부사항 급변하는 소비 트렌드와 커넥티비티의 진화 및 전망을 조명한 ‘붐비는 디지털 홈, 팬데믹으로 스트레스테스트 받다 – 커넥티비티 & 모바일 트렌드 2021 서베이’ 리포트를 발간했다.

딜로이트 글로벌 2021 MZ세대 서베이

책임과 행동을 촉구하는 목소리

지난 10년간 딜로이트 글로벌은 밀레니얼 세대의 인식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사건 및 동향에 대해 지속적으로 연구해왔으며, 올해 10번째 보고서인 ‘딜로이트 글로벌 MZ 세대 서베이 2021’를 발간했다. 본고는 2021년 2월 8일 부터 18일까지의 조사 기간 동안 한국을 포함한 전세계 45개국 22,928명의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를 대상으로 설문하고 인터뷰한 자료를 바탕으로 경제, 사회·정치적 환경 전반에서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의 인식 변화를 살펴본다.

디지털 미디어 트렌드ㅣ제15판

COVID-19 팬데믹을 계기로 엔터테인먼트와 정보, 사회적 유대감을 얻는 수단으로서 소비자의 미디어에 대한 의존도가 여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디지털 미디어 트렌드(제15판) – 선택지가 난무하는 세상, 고객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 리포트에서는 이러한 변화가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M&E)에 어떠한 의미인지, 또 팬데믹 위기가 끝난 후에도 남게 될 트렌드가 무엇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관련 소비자 서베이 결과를 다각적,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세계 무역을 재편하는 탄소국경조정세

기후 위기가 현실화되고 있는 가운데, EU는 배출권거래제(ETS) 등을 통해 선두적으로 온실가스 배출 감축 정책을 펼치고 있다. 엄격한 탄소 배출 규제로 인해 생산 비용이 증가하여 EU 역내 기업들의 가격 경쟁력이 하락하고 생산 기지를 규제가 약한 해외로 옮기는 탄소누출(carbon leakage) 가능성이 증가함에 따라, EU는 역내로 수입되는 해외 상품에도 동등한 탄소 가격을 매기는 탄소국경조정세(이하 탄소국경세)를 오는 2023년부터 도입한다고 예고했다.

커넥티드 컨스트럭션의 생태계 경로

최근 건설업에도 스마트 제조를 위한 디지털 전환의 바람이 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E&C기업들은 디지털 기술을 받아들이는 속도가 다른 산업에 비해 현저히 낮게 나타나고 있다. 이번 보고서는 E&C 기업들이 포괄적으로 가치사슬을 내재화하여 생태계를 조성하고, 이에 기반이 되는 디지털 기술을 채택하는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한 경로를 제시한다.

딜로이트 글로벌 유통업 강자 2021

올해 24번째로 발간된 “글로벌 유통업 강자 2021(Global Powers of Retailing 2021)”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Top 250 유통 기업은 팬데믹에도 불구하고 2019 회계연도 (2020년 6월 30일 종료)에 총 4조8,500억 달러의 매출을 올렸으며(전년 4조7,400억 달러), 조정된 통화 기준 연간 성장률이 전년(4.1%)보다 증가한 4.4%를 기록했다.

딜로이트 자원 연구 서베이

코로나로 인한 급격한 사회 변화와 경제활동의 위축은 기업과 가정용 전력 소비자로 하여금 에너지와 자원의 사용과 에너지 관리(에너지의 조달 및 사용에 관한 관리) 방안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2020년 딜로이트 자원 연구(Deloitte Resource Study)’ 서베이는 COVID-19 가 시작할 당시인 2020년 2월에 실시되었지만, 이전부터 지속되어 온 에너지 자원 효율성과 기후변화 대응, 비용 절감, 재생에너지로의 전환 등의 트렌드는 COVID-19이후에도 지속될 전망이다.

비즈니스 리더를 위한 기후 변화 101: 주요 이슈와 필수 지식

딜로이트는 비즈니스 리더에게 기후 변화에 관한 주요 이슈와 필수적인 지식을 전달하여 이들이 올바른 질문을 던지고 올바르게 우선순위를 매기며 올바른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돕고자 “비즈니스 리더를 위한 기후 변화 101”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연구중심병원

초고해상도 자기공명 영상기기 개발 7.0T MRI 임상활용 및 실용화(1단계) → 7.0T MRI 영상진단법(2단계) → 7.0T MRI 영상진단법(3단계) 7.0T MRI 영상진단법(2단계) → 11.7T MRI 시스템(2단계) → 11.7T MRI 원천기술 실용화(3단계) 첨단융합시스템 개발 고정밀 융합영상시스템(2단계) : 7.0T MRI 영상진단법(2단계) + 초고해상도 가변 PET 기술이전(2단계) 초고해상도 동시청 시스템(3단계) : 11.7T MRI 시스템(2단계) + 초고해상도 PET 기술이전(3단계) 고해상도 PET 기기 개발 초고해상도 가변 PET(1단계) → 초고해상도 가변 PET 기술이전 → 고정밀 융합영상시스템(2단계) 첨단 PET(SiPM) 원천기술확보(1단계) → 초고해상도 PET(2단계) → 초고해상도 PET 기술이전(3단계) → 초과해상도 동시청 시스템(3단계)

영상진단법

각 단계별 영상기기 기술개발에 따른 임상 적용 기술 연계 및 활용

가천의과대학교 길병원, 가천대학교, 가톨릭대학교,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병원, 한국과학기술원, 한국뇌연구원,
(주)에이앤알쎄라퓨틱스, ㈜LGCI생명과학기술연구원

연구과제명

맞춤형 암-만성염증 극복을 위한 개방형 연구 비즈니스 플랫폼 구축

중점연구분야

  • Open innovation과 융합연구를 토대로 산학연병의 연구개발협력을 촉진하고 그 결과물의 실용화 플랫폼을 구축하여 2025년 세계 10위의 연구중심병원 달성
  • 연구중심병원 목표 달성을 위한 2개 핵심분야 연구개발 및 플랫폼 구축
    • 암유전단백체 기반 맞춤치료개발 플랫폼 구축 및 비즈니스 모델 확립
    • 염증을 치료 타깃으로 하는 만성질환의 새로운 치료제 개발과 임상진입 가속화를 위한 개방형 플랫폼 구축

    추진체계 : 연구중심병원 플랫폼 구축을 위한 핵심 성공전략

    • 서울대학교병원의 인프라와 연구역량을 기반으로 개방형 글로벌 연구 협력 네트워크를 연계하여 open innovation의
      연구중심병원 플랫폼 구축
    • 생명과학, 기초의학 등 기초과학 분야 및 바이오벤처 회사들과의 고위험 유망과제 협동연구 선정을 통한 연구개발
      파이프라인의 다양화
    • 연구환경 조성을 위한
      • 개방과 융합전략
      • 경쟁을 통한 지속적 수월성 추구
      • 일관성 있고 효율적인 R&D 거버넌스 시스템 구축
      • 창조적인 비즈니스모델의 도입 5)미래우수 연구인력 양성

      서울대학교병원 연구중심병원 BD Swiss 플랫폼의 세부사항 비전 : 2025년 세계 TOP 10 연구중심병원 도약

      • First Mover

      새로운 의료기술을 개발하여 임상의학의 발전을 선도하는 진정한 세계 일류병원

      절감된 의료비용의 R&D 재투자

      지속가능한 의료복지 서비스 구현

      • 의료기술 국산화 주도
      • 의료산업의 일자리 창출
      • R&D를 통한 수익창출
      • 국가의료비용 절감
      • 병원경영 개선
      • 의료서비스 만족도 향상
      • 의료공공성 강화

      유닛의 선정과 구성

      • 연구중심병원 육성 R&D 사업 유닛에 대한 원내 공모 및 내부 심사를 통한 후보 팀 선정
      • 선택과 집중을 통한 서울대병원 글로벌 연구역량의 결집(7개 연구중심병원 중점 연구분야 유닛 중 플랫폼 구축과 실용화
        가능성이 높은 선도적 유닛 2개 선정)

      암 유전단백체 맞춤치료 실용화

      목표 및 차별성

      • 중장기 신기술 플랫폼 구축
      • 신시장 선도 전략형
      • 미래 의료환경 대응형

      산학연병 협력구조

      • 病(서울대학교병원) ↔ 産(㈜마크로젠, ㈜셀레믹스 - 맞춤진단제품 실용화 BD Swiss 플랫폼의 세부사항 및 상품화 기술제공 및 개발
      • 病(서울대학교병원) ↔ 學(서울대학교 통계학과/생명과학부/의대, 연세대 자연대) - 유전단백체 분석 플랫폼 최적화, 신후보타깃 발굴
      • 病(서울대학교병원) ↔ 硏(서울대 유전공학연구소,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발암기능검증기술 제공 및 신기술 개발

      염증대사질환을 극복하기 위한 개방형 플랫폼 구축 목표 및 차별성

      목표 및 차별성

      • 염증-대사의 핵심 기전 공략 및 임상진입가속화
      • 구체적 성과 상품 창출
      • 타깃 기반 개방형 플랫폼 구축

      산학연병 협력구조

      • 病(서울대학교병원) ↔ 産 (㈜ 대웅제약, ㈜씨알푸드) 산업화 기술
      • 病(서울대학교병원) ↔ 學(서울대학교, 포항공과대학교,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첨단기반기술
      • 病(서울대학교병원) ↔ 硏(한국생명공학연구원 천연물의약연구센터) 첨단 응용 기술

      유닛 1. 암유전단백체 기반 맞춤치료 실용화

      • 산학연병 R&D협력체계를 통한 통합개방형 암 맞춤진단/치료기술 개발 플랫폼 구축
        • 혁신암 유닛 맞춤진단/치료기술개발 플랫폼 최적화
        • 유전단백체검사 서비스 플랫폼 구축
        • 발암기전 탐색/검증 플랫폼 구축
        • 암 유전단백체기반 맞춤치료 진단제품 개발 플랫폼 구축
        • 고위험군 예측 유전단백체 시그니처 개발
        • Liquid biopsy를 이용한 비침습적 종양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 유전단백체 기반 맞춤 임상시험

        지속적 수익 창출과 개방형 연구체계 구축

        1. 고위험군 예측 유전단백체 시그니처(기술실용화) : High-risk geno-proteomic signature
        2. 비침습적 종양 모니터링(기술실용화) : Liquid biopsy Non-invasive dynamic tumor monitoring
        3. 종양 유전단백체 기반 맞춤 임상시험(기술실용화) : Tumor profiling based clinical trial
        4. 플랫폼 총괄운영(플랫폼)
          • 네트워킹(CCRC)
          • 조직은행
          • Big data 센터
          • 암맞춤치료클리닉
          • 종양임상시험센터
          • 분자병리/진단센터
          • 분자영상센터
        5. 유전단백체 진단기술(플랫폼)
          • NGS
          • MRM
          • PDX
          • BI
          • Statistics
        6. 발암기전 탬색/검증(플랫폼)
          • 동물모델
          • CRISPR
          • 세포주모델
          • Microbiome
          • Inflammation
          • Chromatin
        7. 맞춤치료 진단제품 개발 및 산업화(플랫폼)
          • Cancer panel
          • Single cell
          • Cell free DNA
          • Inflammation
          • 프로테옴

        기술상용화와 플랫폼 구축을 통해 암유전 담백체 기반 맞춤치료 실용화

        유닛 2. 염증대사질환을 극복하기 위한 개방형 플랫폼 구축

        • 개방과 융합을 통한 염증대사질환 치료제 개발과 임상진입 가속화를 위한 플랫폼 구축
          • 만성 염증대사질환 치료제 개발과 임상진입가속화를 위한 개방형 산학연병 네트워크 구축
          • 플랫폼 핵심기반기술 확보 및 효율화
          • 리지스틴과 그 수용체를 표적으로 하는 동맥경화증 치료제
          • 대사성 내독소혈증 조절을 통한 비만, 당뇨병 등 대사질환 치료제
          • 신개념 이중항체(TNFalpha/IP10)를 이용한 류마티스관절염 치료제
          • DAMP-TLRs-세포와기질 만성조직염증 조절 치료제

          동맥경화 염증타깃 치료제 개발 연구

          연구내용 동맥경화를 유발하는 리지스틴-캡1에 대한 신호전달체계를 규명하고 선택적 차단제를 발굴하여 리지스틴-캡1 차단제 효과를 검증 플랫폼 Systems Biology : POSTECH, 단백질 구조 규명 : 대웅제약/KRIBB, 질환 동물 모델 : 서울대학교병원, 초기 임상시험 : 서울대학교병원

          서울대학교 병원, 서울대학교, 울산과학기술대학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대웅제약, ㈜마크로젠, ㈜셀레믹스, ㈜씨알푸드

          연구과제명

          글로벌 의료수요 해결을 위한 전략적 기술통합의 개방형 연구 비즈니스 플랫폼 구축

          중점연구분야

          사회기여와 동시에 산업화 추구라는 논리에 기반하여 세브란스 병원이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는 ‘암’과 ‘감염면역’ 두 개 유닛을 구성하고, ‘진단’과 ‘치료’에 근거한 다양한 개발 플랫폼 구축을 기반으로 지속적인 수익을 창출함은 물론 궁극적으로 국가 보건의료 산업의 발전 및 글로벌 의료 수요 해결에 기여함

          유닛의 구성 경쟁력

          • 암 유닛에서 4개의 플랫폼(Leica Translational Pathology Center, Liquid Biopsy, TherapeuticTarget/Biomarker paired Discovery, Miniaturized PDX Avatar)과 감염면역에서 2개의 플랫폼(근치적 신의료기술 개발, 진단기술 개발)을 구축하고 전 단계에 걸쳐 계속적인 상품화가 가능한 구조임
          • Leica Translational Pathology Platform은 글로벌 기업 Leica Biosystems社와의 협력 플랫폼으로서 향후 모든 동반 진단법을
            공동 개발 예정. 1단계에서 글로벌 시장용 Oncotype DX 대체 진단키트와 Oxaliplatin 효과 예측 키트가 개발될 계획임

          유닛 1. 암

          암유닛 추진 개요

          Severance Manhattan Project 참여기관
          • 내부기관(연세 개인맞춤 치료센터)
            • Quantitative Science Center
            • Computational Biology
            • Yonsei Genome center
            • Barbara Webber(Novartis)
            • Mathew Ellis(Wash U)
            • Maria Koehler(Pfizer)
            • Kornelia Polyak(Harvard)
            • Rene Bernards(NKI)
            • 1단계 : 유방암 IHC 기반 OncotypeDx 상용화
            • 2단계 : 대장암 IHC 기반 분자아형 분류키트 개발, 직장암 항암방사선 치료반응 예측
            • 3단계 : 대장암, 직장암 진단 상용화
            • 1단계 : 폐암 조기진단 및 치료지침
            • 2단계 : 폐암/유방암의 조기 진단 및 치료지침
            • 3단계 : 폐암/유방암 상용화, 췌장암 조기 진단 및 치료지침 확대
            • 화학연구소 HTS 협력, 연세대 약대 협력
            • 1단계 : 폐암 동시 표적 및 표적치료제 lead 개발 및 기술이전, 복합대사약물을 이용 항암 repositioning drug 개발
            • 2단계 : 위암 동시 표적 및 표적치료제 lead 개발 및 기술이전, 암줄기세포 기반치료제 lead 개발 및 기술이전
            • 3단계 : 난치성 유방암/췌장암/뇌암 확대, 복합대사약물 상용화
            • 복지부 임상 유전체 과제 협력, 연세대 CEM model 연구소 협력
            • 1단계 : Avatar mouse와 동일 성능 및 용도 증명, T-MAP 개발
            • 2단계 : 환자유래 Avatar FISH library 구축, T-MAP 구축-screening service
            • 3단계 : 질환별 Avatar FISH 및 T-MAP 라이브러리 구축-판매

            플랫폼 기반 암 진단, 치료 기술 개발을 통한 지속적 병원 산업화

            • Leica Translational Pathology Center-실용적 동반진단 플랫폼
              • 초기 유방암 치료 관련 유방암 예후 예측 Ki67 면역염색 동반진단 키트 개발
              • 대장암 치료 관련 대장암 항암 치료반응 예측 동반 진단키드 개발
              • 직장암 치료 관련 직장암 수술전화학방사선 치료반응 예측 동반진단 키드 개발

              폐암에서의 액체 생검(circulating tumor cell (CTC) 및 circulating tumor DNA (ctDNA)) 기반 종양 특이적 체성 돌연변이
              검출 플랫폼 개발

              • NAPRT1 발현억제 폐암에 선택적 효과를 갖는 NamPRT 저해제 개발
              • 신개념 바이오마커-항암제 동시개발 플랫폼을 활용한 위암 표적항암 약물 개발
              • Drug repositioning을 통한 암대사차단 복합제 항암신약의 개발
              • 제브라피쉬 in vivo 아바타 모델 플랫폼
              • in vitro 축소형 복제종양 플랫폼.

              유닛 2. 감염면역질환

              감염면역 질환 유닛 추진 개요

              • External Scientific Advisory Borad
              • 대학 : KAIST, 포항공대
              • 연구소 : KRiBB(한국생공연)
              • 국제협력 : Swiss Tropical and Public Health Institute(TPH)
              • 제1 플랫폼 : 난치성 감염면역질환 극복을 위한 근치적 신의료기술 개발
                • 1세부 : 조상래, 2세부 : 송무영, 3세부 : 이광훈
                • 제넥신, 유한양행, 프로테옴텍, 라파스 협력
                • 1단계 : 결핵치료용 DNA 백신 1상 및 결핵 및 비결핵항산균 신속진단기술 개발, 갑상선항진증 안병증 활성도 측정 키트, 알러젠 탑재 마이크로니들 개발
                • 2단계 : 치료용DNA백신 2상 진입, 결핵 및 비결핵항산균 신속진단기술 유효성 평가, TSHR 변이 단백 타겟 생물학적제재 개발, 알러젠탑제 면역치료 패취 안전성 평가
                • 3단계 : 결핵DNA백신 2상완료 및 기술이전, 신속진단 키트 상품화, TSHR 변이 단백 타겟 생물학학제재 생산 및 실용화, 알러젠탑제 마이크로니들 패취를 이용한 면역치료 임상시험
                • 4세부 : 이경원, 5세부 : 박용범
                • 천랩, 바이텍메드 협력
                • 1단계 : 갑상선항진증 안병증 활성도 측정 진단 키트 개발, 항체(ANA, anti-CCP) 조기진단 POCT 개발 및 시판, 금나노입자 효용성 평가
                • 2단계 : 바이크로바이옴 연계 자가형 프로바이오틱스 개발, POCT 진단키트 상품화(국내, 국외시장 시판), 금나노입자 영상장치 전임상
                • 3단계 : 개인 맞춤형 프로바이오틱스 개발, 기타 ENA 자가항체 POCT 상품화, 진단용 나노입자 임상시험
                • 만성 난치성 감염면역질환의 근치를 위한 새로운 치료기술의 개발
                • 현재의 진단기술에서 빠른 진단이 어려운 감염, 면역질환군에서 신속 대용량 진단 기술 개발
                • 글로벌 수준의 의료기술 개발을 통해 공공사회적 복지 증대, 무형의 사회적 가치 창조와 국가 경쟁력 제고
                • 감염면역질환 분야에서의 성공적인 산업화와 자립형 연구병원체체 도입의 기반확충
                • 결핵퇴치 가속화를 위한 DNA결핵백신 및 신속진단기술 개발
                  • 난치성 결핵(MDR/XDR-TB)의 치료성공률제고를 위한 결핵치료용 DNA백신의 개발
                  • 결핵감염예방과 잠복결핵감염의 활성화예방을 위한 성인용 DNA결핵백신의 개발
                  • 잠복결핵감염의 저비용 신속 나노센서 프롭 면역진단 기술 개발
                  • TSH수용체 융합단백질의 개발
                  • TSH수용체 cAMP/non cAMP 진단시스템 개발
                  • 한국형 흡입 알러젠의 피부시험 시약 및 면역치료제 개발
                  • 알러젠 탑재 마이크로니들 기술 기반의 경피부 면역치료법 개발
                  • Clostridium difficile에 의한 장염 발생을 예측하기 위한 Microbiome 기반 진단법 개발
                  • 염증성 장질환 환자의 microbiome 특성 규명 및 개인 맞춤형 probiotics 개발
                  • 암환자에서 치료 전 치료 중 발생한 폐렴의 microbiome 특성 규명 및 폐렴 예측 기술 개발
                  • 현장진단분석(POCT)용 자가면역 질환의 조기진단 시스템 개발
                  • 관절염 조기진단 및 활성도 형가를 위한 광학영상용 표적지향성 나노입자 개발

                  연구과제명

                  만성/난치 질환 치료제 개발 글로벌선도를 위한 줄기세포재생의료 개방형 연구 비즈니스

                  중점연구분야

                  골관절 질환, 신경계 질환, 소아난치 질환

                  불치·난치 질환의 clinical unmet needs를 해소하기 위한 산·학·연·병 공동연구 플랫폼 및 재생의료 R&D 비즈니스모델을
                  구축하고 산업화를 통한 수익모델 확장으로 연구중심병원의 자립화 달성을 목표로 함

                  해외마케팅 Archives - Page 2 of 4 - Triple A Consulting

                  SNS수출마케팅 어떻게 하는 건가요? SNS가 대세이긴 한데? 도대체 어떻게 하는 것인지 어렵게만 느껴진다구요?

                  품목별, 목표시장별 이커머스 플랫폼 선정을 제대로 한 뒤, 마케팅 최적화를 실행해야 합니다.

                  Tips for Facebook, Instagram, Pinterest, Linkedin, YouTube ?

                  효과적인 소셜미디어의 운영은 무엇일까요? 해외잠재 바이어들을 만나려면 어떤 미디어가 우리 회사에 적합할까요?

                  정말 SNS를 통해서 수출이 가능한가요? 너무 많은 플랫폼 운영을 혼자서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어려우셨죠?

                  2일동안 제대로 수출마케팅의 필수 코스! SNS수출마케팅 실습과정을 함께 해보자구요!

                  • 일시: 2018년 3월 8일(목)~3월9일(금)
                  • 시간: 오전10시~오후6시(총 14시간)
                  • 장소:한국무역협회 무역아카데미 4층

                  SNS수출마케팅

                  수출마케팅

                  특히, 해외마케팅 BD Swiss 플랫폼의 세부사항 초보자들을 위하여 브랜드 정립부터 URL구조 가져가기, 스토리라인 구성, 브랜드의 일관성 유지 등

                  홈페이지, 블로그, 소셜미디어의 SEO를 통하여 검색엔진에서 최상위 노출을 하는 요령에 대해서도 배울 수 있습니다.

                  차근 차근 실습을 통해서 하나의 상세페이지라도 제대로 만들어 보는 시간 가져보겠습니다.

                  그럼 3월에 강의장에서 뵙겠습니다.

                  2018 수출지원사업 통합공고

                  중소기업의 해외시장 진출! 어렵지 않습니다.

                  트리플에이컨설팅이 함께 합니다.

                  트리플에이컨설팅

                  중소기업 해외진출 지원을 위해 1,784 억 원 투입
                  – 온라인 수출 쇼핑몰 , 일자리 중심 , Two-Track 관리 등 중점추진 –

                  중소벤처기업부는 혁신적인 내수 · 창업기업의 수출기업화 및 글로벌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2018 년도 1,784 억 원의 중소기업 수출지원 예산을 투입합니다 .

                  온라인 수출 , 글로벌강소기업 지원 등이 확대되고 , 수출바우처 참여기관에 중기부 , 산업부 외에 농림부 , 해수부 , 특허청이 추가됩니다 .

                  2018 년 수출지원사업은 온라인 수출 쇼핑몰 육성 ’, ‘ 일자리 창출기업 우대 및 수출 첫걸음 지원 도입 ’, ‘ 수출저변 확대 및 수출선도기업 지원 등을 중점 추진합니다 .

                  아울러 , 그간 공급자 위주의 집행 중심에서 수요자 맞춤 지원 등 서비스 기능을 강화하고 정부의 신남방정책 실현을 위해 ASEAN 등 신흥시장에 대한 지원과 협력을 확대할 예정입니다 .

                  2018 년도 중소기업 수출지원의 세부 특징은 첨부파일을 확인하여 주십시오.

                  중소기업의 해외진출 어렵지 않습니다.

                  수출컨설팅, 해외마케팅 전문 회사, 트리플에이컨설팅이 함께 하겠습니다.

                  B2B Linkedin 수출마케팅 실습(1.31)[KITA]

                  B2B Linkedin 수출마케팅 강좌가 여러분을 찾아 갑니다.

                  한국무역협회의 대표적인 수출마케팅 강좌인 “B2B Linkedin 수출마케팅 실습” 과정이 1월에도 오픈되었습니다.

                  다양한 온라인 마케팅 플랫폼들이 있지만 이제 링크드인은 B2B수출의 절대적인 필수 플랫폼입니다.

                  많은 중소기업들이 링크드인을 활용하여 수출에 성공하는 사례들도 나오고 있습니다.

                  실질적으도 바이어 발굴에 도움이 되는 개인프로필 작성과 검색요령도 실습합니다.

                  2018년의 첫 시작을 “B2B Linkedin 수출마케팅 실습”과정으로 함께해 볼까요?

                  B2B Linkedin 수출마케팅

                  트리플에이컨설팅 서수진

                  # 본 커리큘럼과 관련하여 기업체 사내교육을 원하시면 트리플에이컨설팅 서수진 대표에게 직접 문의해 주십시오.

                  [충북무역아카데미]제6기 무역마케팅 집중과정(11.23~11.24)

                  %ec%b6%a9%eb%b6%81%eb%ac%b4%ec%97%ad%ec%95%84%ec%b9%b4%eb%8d%b0%eb%af%b8-%eb%ac%b4%ec%97%ad%eb%a7%88%ec%bc%80%ed%8c%85

                  ★해외마케팅 실무자 및 신입사원에게 꼭 필요한 과정!
                  교육만족도 100%(매우만족80%, 만족20%), 현업활용도 100%(매우만족60%, 만족40%)

                  충청북도는 한국무역협회 충북지역본부와 협업하여 충북소재 무역업체 임직원의 해외마케팅 능력을 배양하고자, 현업에 계신 최고의 강사진을 초청하여 실무중심의 단기교육을 다음과 같이 실시할 계획이오니 적극적으로 참여하시기 바랍니다.

                  ㅇ과정명 : 2017 제6기 무역마케팅 집중과정
                  ㅇ기 간 : 2017. 11. 23(목)~ 11. 24(금), 총10 시간
                  – 11. 23(목) 13:00~16:00 (3h)
                  – 11. 24(금) 10:00~18:00 (7h)
                  ㅇ장 소 : 충북중소기업지원센터 지하1층 제2교육장(청주시 흥덕구 가경동)
                  ㅇ교육특전
                  – 최신 온오프라인 마케팅 전략 트렌드를 반영한 강의
                  – 서울 무역아카데미 최고평점강사의 실무중심 강의 및 시뮬레이션 실습
                  – 수료자에 한해 필요시 무역협회 해외마케팅 자문위원의 사후자문 지원
                  – 6시간 이상 수강시 수료증 수여, 수강료 무료, 교재 지급

                  ㅇ 충북도내 중소기업 임직원 30명(선착순 접수)

                  – 온라인 마케팅(e-marketplace, SNS, 검색엔진)
                  – 오프라인 마케팅(해외전시회 참가전략 등)

                  ㅇ 사업주최 : 충청북도 국제통상과 김창태 전문위원(T.043-220-3484)
                  ㅇ 사업주관 : 한국무역협회 충북지역본부 오주석 주임(043-236-1171~3)

                  [경기 FTA센터] 해외마케팅 및 무역실무 교육(11.20~11.21)

                  %ea%b2%bd%ea%b8%b0fta%ec%a7%80%ec%9b%90%ec%84%bc%ed%84%b0-%ed%95%b4%ec%99%b8%eb%a7%88%ec%bc%80%ed%8c%85

                  경기 FTA지원센터에서 주관하는 경기도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해외마케팅 교육과정이 진행됩니다..

                  ㅇ 행 사 명 : 해외마케팅 및 무역실무(계약서작성실습) 교육

                  ㅇ 일 시 : 11월 20일(월)~21일(화), 10:00~17:00 (2일간, 총 12시간)

                  ㅇ 장 소 : 수원)수원상공회의소 교육장

                  ㅇ 주 최 : 산업통상자원부, 경기도

                  ㅇ 주 관 : 경기중소기업연합회(경기FTA센터), 수원상공회의소

                  ㅇ 참석대상 : 수원 및 도내 기업체 임직원 40여명

                  ㅇ 주요내용 : 중소기업 수출마케팅 사례, 해외시장 조사방법,해외거래처 발굴방법, 무역서류 및 계약서작성실습, 무역대금결제 등

                  ㅇ 무역 외환 관리 관련 주요사항

                  World Economic Form 2017-2018

                  wef

                  스위스 제네바에 있는 WEF(World Economic Forum)는 1979년 이후 매년 국가경쟁력을 평가해 발표하고 있다.

                  올해 순위는 국제경쟁력 지수(Global Competitiveness Index) 체계에 따라 3대 BD Swiss 플랫폼의 세부사항 분야, 12개 부문, 114개 항목에 대한 평가를 토대로 발표됐다.

                  114개 항목 중 34개는 WEF가 국제기구와 각국 정부의 2015~2016년 통계를 수집해 산정한다. 나머지 80개 항목은 각국 최고경영자(CEO)를 통한 설문조사를 통해 평가한다. 한국 설문은 국내 파트너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을 통해 국내 대·중소기업 CEO를 대상으로 실시됐다. 응답자수는 100명이며 설문조사 기간은 올해 3~4월이다.

                  3대 분야와 12개 부문별 세부 순위도 지난해와 대동소이했다. 3개 분야의 경우 ‘기본요인’이 19위에서 16위로 세 계단 상승했지만 ‘효율성 증진’은 26위로 지난해와 같았고, 기업 혁신·성숙도는 22위에서 23위로 하락했다.

                  첫째는 기초 생산성 지수(basic requirements)
                  둘째는 효율성 지수(efficiency enhancers)
                  세째는 혁신성 지수(innovation& sophistication factor)

                  위의 세가지 주요지수에 또 다시 12개의 하부 평가요소들을 기반으로 글로벌경쟁력지수를 평가하고 있다고 합니다.
                  상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의 보고서를 다운로드 받아 주세요.

                  트리플에이컨설팅-수출마케팅

                  트리플에이컨설팅은 수출컨설팅, 해외마케팅 그리고 무역교육 전문 컨설팅 회사입니다.

                  해외마케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을 위해 검색엔진별 마케팅 요령과 적절한 키워드의 도출,

                  이미지와 상세페이지 제작 요령에 대한 컨설팅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내수기업의 온라인 해외시장 진출! 어렵지 않습니다.

                  해외마케팅, 수출컨설팅 상담은 트리플에이컨설팅 이메일 [email protected] 으로 문의 주십시오.

                  [무역아카데미]B2B Linkedin수출마케팅 실습 (10.20)

                  World Export, CountryLimitless를 지향하는 트리플에이컨설팅입니다.

                  드디어 B2B Linkedin 수출마케팅 실습 과정 공고가 release 되었습니다.

                  한국무역협회 무역아카데미에서 공개강의로 개최됩니다.

                  강의시간은 2017년 10월 20일 금요일(오전 10시~오후6시, 7시간)

                  즐거운 추석 연휴 보내시고, 새로운 마음으로 B2B제품의 해외수출을 위해 링크드인(Linkedin)과 B2B e-Marketplace을 활용한 수출요령에 대해서 배우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

                  글로벌 시장진출을 위해서 이제는 필수인 링크드인 개인 계정을 만드는 것은 직접 실습으로 진행합니다.

                  b2blinkedin

                  B2B 해외영업의 필수 플랫폼인 링크드인(www.linkedin.com)을 아직 모른다구요?

                  이번 기회에 제대로 링크드인이 무엇이며 b2b잠재 바이어 발굴을 어떤 요령으로 하는지 제대로 실습을 통해서 알아보면 좋을 거 같습니다.

                  처음의 출발은 개인 이력서를 토대로 구인, 구직을 하는 용도로 BD Swiss 플랫폼의 세부사항 사용되었다면,

                  지금은 B2B 비즈니스를 하는 데 있어서 유력한 바이어, 유력한 내부 결정권자를 찾는데 링크드인을 활용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을 겁니다.

                  그 어디에서도 알 수 없었던 내부 담당자 이름과 직급까지 상세하게 알 수 있으니 이렇게 효과적인 DM이 없겠죠?

                  그간의 스테레스 확 날려 버리세요. 이제 바이어 발굴이 쉬워질테니까요.

                  아울러 과거부터 존재했던 B2B e-Marketplace 들도 제대로 마케팅을 하지 않아서

                  검색엔진에 노출되지 않고 있는 기업들이 많이 있습니다.

                  구글에 잘 노출되게 하는 다양한 온라인 마케팅 Tip들도 배우게 될 테니 많은 참여 바랍니다.

                  지금까지 수출컨설팅, 해외마케팅, 무역교육 전문회사 트리플에이컨설팅에서 강의 정보 공유 드렸습니다.

                  [수출 Tip] 진성바이어 발굴 요령

                  바이어발굴


                  수출컨설팅을 수행해 오면서 기업들로부터 가장 많은 질문을 받는 내용 중 하나가 바로 진성바이어인지 가짜바이어인지

                  어떻게 확인을 할 수 있느냐? 였습니다. Who could be a real buyer?

                  만나보지 않고서 해외에 있는 고객이 진짜인지 가짜인지 참으로 어려운 내용이 아닐 수 없겠죠?

                  그러나, 온라인에서 몇 가지만 체크해 보아도 진성바이어인지 가짜바이어인지 확인이 가능하여 몇 가지 요령을 알려 드리고자 합니다.

                  1. 이메일 주소의 도메인과 주소, 전화번호, 팩스번호의 연계성 살펴보기
                  -미국 회사라고 하였는데 전화번호가 +86으로 시작한다면 중국 소재 번호이므로 주의 하셔야 합니다.

                  2. 해당 주소에 있는 국가명과 도시지명을 구글맵으로 살펴보기
                  -스펠링은 유사한데 국가명과 도시지명이 다른 경우들이 있습니다. 이에 해당 도시 주변의 구글맵 지도, 위성지도, 구글어스 등을 통하여
                  실제 도로 및 건물 모습까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실존 주소인지 실존 회사인지 확인시에 이용해 보셔도 좋겠습니다.
                  참고로, 베트남의 도시명중에 호치민이 있죠? 그 스펠링과 유사한 독일의 도시명에 Hochiheim 이 있는데요. 간혹 베트남 호치민으로 가야할 우편물의 주소가 독일의 Hochiheim으로 간 경우가 있으니 체크해 보세요.

                  google-map-check

                  3. 이메일 교신이 몇 번 오가지 않았는데 바로 무료 샘플을 달라고 하는 경우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물론 제품가격에 따라서 단 번에 무료샘플을 주는 경우도 있을 수 있지만, 저는 제품가격 기준 10만원 이상이 넘는 아이템에 대해서는 무료샘플이 아니라 직접구매를 해서 테스트를 해보는 바이어가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paid-sample

                  4. 이메일의 도메인과 회사 주소지의 국가가 일치하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구글을 사용한다고 할 때 우리나라는 google.co.kr을 이용하듯이 국가별 도메인이 있습니다.
                  인터넷 도메인와 주소지 국가의 도메인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들은 의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5. 초기에는 많은 질문을 통해서 진성 바이어를 filtering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우리 회사를 알게된 경위는?
                  -우리 제품 중 관심있는 제품은?
                  -잠재 바이어는 어떤 회사이며 회사 홈페이지와 회사 소개서를 요청해 보세요. 그러면 이메일이 단절되는 경우들이 많이 발생합니다.
                  정상적인 기업이 아닌 경우가 많으니 초기 메일에 과도한 물량의 주문을 이야기 한다거나 할 때는 예산과 납기 스케쥴을 물어보세요. 이게 구체적으로 나온다면 진성에 가까운 고객일 수 도 있구요. 지속적으로 질문을 해나가면서 원하는 내용들을 끌어내야 합니다.
                  -또한 업계에서 사용하는 전문용어들을 이메일에 섞어서 그 내용을 이해하는지를 파악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 중 하나입니다.

                  questionnaire

                  이상과 같이 여러분이 사전 체크해 보시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성바이어인지 가짜바이어인지 의구심이 든다면, 한국무역보험공사에 국외기업신용조사서비스 를 통하여 국외기업에 대한 신용조사를 조회해 볼 것을 권고합니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